리눅스 개발 환경을 제공해주는 툴이 두가지 있다. cygwin, mingw 이다. 가상 환경에서 구동하는 vmware 등과는 다르게 여러 프로그램들을 win32용으로 포팅하여서 UNIX의 다양한 툴들을 윈도우에서 사용가는하게 해주는것이다. 두 툴의 차이는 cygwin은 posix를 에뮬레이션해서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구현해놓은 반면에 mingw는 최소한의 프로그램만 구현해 놓았다고 합니다. 애초에 mingw라는 프로젝트가 cywin으로부터 나왔다고 하는군요. 제가 써본 바로는 cywin이 좀 더 큰 용량을 잡아먹는 대신 설치가 간편하고 mingw는 용량이 작은 대신 msys까지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좀 더 과정이 복잡한 편입니다. (설치후 환경변수 추가까지 직접 해야하므로) 여기에서는 좀 더 간편한 설치가 ..
2016/07/18 - [폰] - g2 하드브릭 복구법 위 글을 통해 하드브릭 상태에서 소프트 브릭 상태로 가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소프트 브릭 상태에서 복구할 경우 내부 메모리에 담긴 데이터는 다 날아가게 되니 적당한 툴을 사용해서 백업하신 뒤 진행해주세요 소프트 브릭의 경우에는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이 때 폰이 인식되려면 lg 통합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제가 사용한 버전을 올려드릴테니 인식안될경우 다른 버전을 찾아 깔아보세요.(LG 통합 USB 드라이버) g2의 경우 볼륨 상(△) 키를 누르며 컴퓨터 usb포트에 연결할경우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합니다. 이 상태에서 우리가 선택 가능한 펌웨어 종류는 tot와 kdz 두가지입니다. 좀 예전 버전은 kdz 파일로 되있고 최신 버전은 to..
스마트폰을 이래저래 건들다 보면 벽돌 상태가 되곤 합니다. 켜지긴하는 소프트 브릭의 경우에는 펌웨어를 다시 씌우면 되지만 다운로드 모드도 들어가지 못하는 하드브릭의 경우에는 대다수가 포기하게 됩니다. 다행히도 g시리즈는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없다면 대개 복구가 가능합니다.(지금 적는걸 조금만 응용하면 qualcomm사의 칩셋을 쓰는 폰들은 하드브릭에서의 복구가 가능할것입니다.) 하드브릭이란 대개 부트로더나 시스템 영역을 수정한 결과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면 저의 경우엔 부트로더 수정으로 secure booting error가 발생하였습니다. 다운로드 모드에 들어가려해도 이 메세지가 뜨면서 오류가 발생해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폰이 마치 꺼지..
- Total
- Today
- Yesterday
- 라즈베리파이
- GPS
- 모듈
- 개발
- 라즈베리
- Raspberry Pi
- RTSP
- NMEA
- C++
- Raspberry
- dsp
- 통신
- 알레한드로
- 벽돌복구
- 라즈베리 파이
- pi
- 비전
- 카메라
- 소나 센서
- RaspberryPi
- opencv
- vn-200
- 파이
- WiFi
- 무선
- vectornav
- 복구
- 영화
- ti
- G2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