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켜지긴하는 소프트 브릭의 경우에는 펌웨어를 다시 씌우면 되지만
다운로드 모드도 들어가지 못하는 하드브릭의 경우에는 대다수가 포기하게 됩니다.
다행히도 g시리즈는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없다면 대개 복구가 가능합니다.
(지금 적는걸 조금만 응용하면 qualcomm사의 칩셋을 쓰는 폰들은 하드브릭에서의 복구가 가능할것입니다.)
하드브릭이란 대개 부트로더나 시스템 영역을 수정한 결과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면 저의 경우엔 부트로더 수정으로 secure booting error가 발생하였습니다.
다운로드 모드에 들어가려해도 이 메세지가 뜨면서 오류가 발생해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폰이 마치 꺼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검은화면이 떠있습니다.
(제 경우엔 뒷판을 까서 확인해 보았습니다.)
이 상태에서 pc에 연결해 보면 다수의 디스크가 잡히며 새 장치가 잡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 적절한 드라이버가 깔려 있다면 QHSUSB_BULK나 QHSUSB_DLOAD로 장치 관리자에 인식이 되게 됩니다.
이처럼 Qualcomm 칩셋의 경우 부팅에 문제가 생길경우 자체적으로 내부메모리를 디스크로 잡히게 해줍니다.
이 말은 이 디스크에 시스템 영역을 덮어씌워준다면 시스템 영역이 복구되어 소프트브릭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QHSUSB로 인식까지 마쳤다면 하드브릭으로부터 복구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다음은 SRKTOOL이라는걸 이용하면 되는데 저작권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직접 올리지는 않겠습니다.
위의 링크로 들어가셔서 다운로드 가능한 것중 가장 위의 것을 받으시면 됩니다. 현재는 2.1이 최신이네요(2016.07)
각 항목들은 위의 링크 들어가시면 자세히 나오고 이것을 통해 루팅 혹은 리커버리를 덮어 씌우는 것도 가능합니다.
자세한 방법은 동영상 링크가 있으니 동영상을 참고하도록 하세요
'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2 소프트 브릭 복구법 (1) | 2016.07.18 |
---|
- Total
- Today
- Yesterday
- ti
- 벽돌복구
- pi
- Raspberry Pi
- 라즈베리파이
- 무선
- 소나 센서
- 영화
- C++
- vectornav
- G2
- vn-200
- opencv
- 카메라
- 알레한드로
- dsp
- NMEA
- 모듈
- 라즈베리
- WiFi
- GPS
- 파이
- 비전
- 복구
- RTSP
- Raspberry
- 개발
- RaspberryPi
- 라즈베리 파이
- 통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